판례/판정례

전체 15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9
회사는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파업기간과 이에 포함된 유급휴가 및 유급휴일에 대한 임금을 공제할수 있고, 공제되는 임금은 '무급' 휴일에 대한 임금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관리자 | 2010.09.29 | 추천 0 | 조회 4538
관리자 2010.09.29 0 4538
38
회사로부터 무상으로 화물차량을 제공받아 레미콘 원자재 등의 운송업무를 수행한 운송기사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 ( 2010.05.27, 대법 2007두9471 )
관리자 | 2010.06.10 | 추천 0 | 조회 1944
관리자 2010.06.10 0 1944
37
대법 2007다90760 퇴직금관련
관리자 | 2010.05.26 | 추천 0 | 조회 2448
관리자 2010.05.26 0 2448
36
방청(傍聽)업무를 하는 회원(박수부대)은 직업안정법상 근로자라고 보기 어렵다 ( 2010.02.11, 대법 2009도3806 )
관리자 | 2010.04.16 | 추천 0 | 조회 1928
관리자 2010.04.16 0 1928
35
단체협약 등에 일정 근로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시간에 대한 합의가 있다거나 기본급에 수당을 포함한 금액을 기준으로 임금인상률을 정하였다는 사정 등을 들어 바로 포괄임금제에 관한 합의가 있다고 섣불리 단정할 수는 없다
관리자 | 2010.01.11 | 추천 0 | 조회 2767
관리자 2010.01.11 0 2767
34
○○협의회 사무국장은 임금을 목적으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라고 보아야 한다 ( 2009.11.13, 광주고법 2009나1749 )
관리자 | 2009.12.10 | 추천 0 | 조회 2114
관리자 2009.12.10 0 2114
33
명예퇴직에 관한 심사결정 권한은 원칙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유보되어 있지만 단체협약, 그 규정의 도입경위, 명예퇴직제도의 도입 및 변경경위 등에 비추어 명예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 2009.11.11, 대구지법 2009가합5
관리자 | 2009.11.26 | 추천 0 | 조회 2806
관리자 2009.11.26 0 2806
32
급여 중 일정 금액을 숙박 여부와 상관없이 매월 숙박비 명목으로 지급한 경우 당해금액은 근로의 대가로서 평균임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의 범위에 포함된다 ( 2009.09.01, 서울행법 2008구단5004 )
관리자 | 2009.11.13 | 추천 0 | 조회 2141
관리자 2009.11.13 0 2141
31
대표이사로서의 지위가 형식적 명목적인 것에 불과하고 근로 자체의 대상적 성격으로 보수를 지급받는 경우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근로자에 해당한다 (2009.08.20, 대법 2009두1440)
관리자 | 2009.10.28 | 추천 0 | 조회 2630
관리자 2009.10.28 0 2630
30
근로자파견사업을 하는 보험가입자의 경우에도 파견사업장에서 용역을 제공하는 근로자가 실제로 행하는 작업형태에 준하는 사업종류의 보험료율을 적용하여야 한다 (2009.08.20, 대법 2009두7363)
관리자 | 2009.10.15 | 추천 0 | 조회 2463
관리자 2009.10.15 0 2463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