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59
|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 149 |
급여체계를 호봉제에서 연봉제로 변경한 경우 그 변경 전후 임용된 교원에게 적용되어야 할 급여체계 및 적정한 연봉 산정방법
조성연 노무사
|
2022.01.24
|
추천 0
|
조회 1615
|
조성연 노무사 | 2022.01.24 | 0 | 1615 |
| 148 |
근로계약상 고용승계 규정 등에 비추어 갱신기대권이 인정됨에도 근로계약 갱신을 거절한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한다
조성연 노무사
|
2022.01.17
|
추천 0
|
조회 894
|
조성연 노무사 | 2022.01.17 | 0 | 894 |
| 147 |
경영상태의 악화를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고 향후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신의칙을 들어 근로자의 추가 법정수당 청구를 쉽게 배척해서는 안 된다
조성연 노무사
|
2022.01.10
|
추천 0
|
조회 1067
|
조성연 노무사 | 2022.01.10 | 0 | 1067 |
| 146 |
40대 중반부터 최대 50%까지 임금을 삭감도록 하는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것은 합리적인 이유 없이 연령을 이유로 한 차별에 해당하고,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도 반해 무효이다
강주아 노무사
|
2022.01.03
|
추천 0
|
조회 1472
|
강주아 노무사 | 2022.01.03 | 0 | 1472 |
| 145 |
근로계약상 고용승계 규정 등에 비추어 갱신기대권이 인정됨에도 근로계약 갱신을 거절한 것은 부당해고에 해당한다
강주아 노무사
|
2021.12.30
|
추천 0
|
조회 1028
|
강주아 노무사 | 2021.12.30 | 0 | 1028 |
| 144 |
취업규칙에 전직을 징계의 종류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징계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이루어진 인사발령은 절차적 하자가 있어 위법하다
강주아 노무사
|
2021.12.29
|
추천 0
|
조회 1459
|
강주아 노무사 | 2021.12.29 | 0 | 1459 |
| 143 |
명절상여는 통상임금에 해당하고, 통상임금 재산정에 따른 추가 법정수당 청구는 신의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강주아 노무사
|
2021.12.29
|
추천 0
|
조회 656
|
강주아 노무사 | 2021.12.29 | 0 | 656 |
| 142 |
이사가 나뭇가지로 계약직 여직원의 엉덩이를 때린 행위 등은 직장 내 괴롭힘이자 성희롱에 해당한다
강주아 노무사
|
2021.12.06
|
추천 0
|
조회 755
|
강주아 노무사 | 2021.12.06 | 0 | 755 |
| 141 |
기간제 근로계약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갱신 거절의 통보를 하는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27조가 적용되지 않는다
강주아 노무사
|
2021.12.02
|
추천 0
|
조회 1836
|
강주아 노무사 | 2021.12.02 | 0 | 1836 |
| 140 |
고정시간외수당(고정OT)은 소정근로에 대한 대가로 지급된 통상임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강주아 노무사
|
2021.11.26
|
추천 0
|
조회 1659
|
강주아 노무사 | 2021.11.26 | 0 | 1659 |

